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K-Neurophysiologist Newsletter /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회보

메뉴 열기

Hemoglobin, Body Mass Index, and Age as Risk Factors for Paclitaxel- and Oxaliplatin-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Mizrahi D et al. JAMA Network Open 2021 Feb 1;4(2):e2036695

석진명 순천향대천안병원 신경과

항암제유발말초신경병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은 신경독성이 있는 항암 치료시에 발생하는 말초신경병으로, 흔히 taxane 계열 이나 platinum계열 항암제 사용시 많이 유발된다. 암환자의 생존율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경험하는 암환자도 늘어나고 있어, CIPN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CIPN 발생의 위험인자에 관해 아직까지 일관된 합의가 있지는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paclitaxel과 oxaliplatin 항암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항암치료전 혈액 및 임상소견 분석하여, 항암치료 이후 CIPN 발생의 위험인자를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군을 대상으로 하는 다기관 연구로, 18세 이상의 1~4기 암환자들 중 paclitaxel 이나, oxaliplatin 치료를 3개월에서12개월 이내 종료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치료 이후 신경학적 평가로 TNSc (clinical version Total Neuropathy Scale), 신경전도 검사 (비복신경 감각활동전위 진폭 및 경골신경 복합근육활동전위 진폭), 25 hole peg 검사, 두점 구별검사 (2-point discrimination) 를 수행하였으며, 환자보고 지표로 FACT/GOG-Ntx-13 설문지를 수행하였다. 또한 CIPN이 심한 정도 평가를 위해서, NCI-CTCAE grade를 사용하여 0(증상없음), 1(무증상, 일상생활지장없음), 2(중등도 증상, 일상생활제한), 3(심한증상, 대부분 일상생활 및 자기관리 제한), 4(장애유발)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신경학적 평가에 더해 혈액 검사 및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333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26.7% 환자에서는 CTCAE grade 0 으로 증상이 없는 환자였으며, oxaliplatin 약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CTCAE grade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신경전도 검사 소견은 비복신경 진폭은 10.8±8.5 uV, 경골신경 진폭은 10.2±5.0 mV 로 관찰되었으며, 그외 신경학적 평가는 아래 표와 같다 (표).
각각의 CIPN의 평가 방법은 서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액검사 소견은 항암 치료전 hemoglobin 수치가 낮은 환자들에서 신경학적 평가 이상소견이 높게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소견 및 혈액검사 소견을 통해 높은 TNSc score (CIPN 심함)를 예측하는 다변량 모델을 통해 확인시, 나이가 많거나, BMI가 높거나 hemoglobin 수차가 낮은 경우 TNSc score가 더 높게 관찰되었다 (그림).

본 연구는 다기관 연구이며,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한 CIPN 평가 방식을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가장 큰 강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의 대규모 연구들과 비교시 새로운 소견이 뚜렷하지는 않으며, 다른 말초신경병을 일으킬 수 있는 영양상태 등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향후 더 자세한 위험인자 발굴 및 적절한 치료 적용 통해 환자들의 불편감을 감소 시켜야 하며, 장기간의 연구 또한 필요하겠다.

표)


그림)


참고) Clinical version of Total neuropathy score (TNSc)


(우편번호:03163)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12 대일빌딩 1111호

Copyright@2003 b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