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C. De la Maza Krzeptowsky, et al.,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21;38:231–236
이화령 연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나이와 연관된 신경생리검사의 변화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나이가 들면서 뇌파에서 알파파가 감소하거나 유발 전위에서 파형의 잠복기가 연장되거나 진폭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고 근전도와 신경전도검사에서도 나이에 따른 변화들이 알려져 있다. 수술중신경계감시(intraoperative neurophysiology monitoring, IONM)는 다양한 종류의 수술 후 신경학적 결손을 막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노인에서의 IONM signal의 변화를 분석한 임상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ONM signal의 변화를 60세 미만과 60세 이상의 환자들간 비교하는 것이다.
2013년에서 2018년 사이 멕시코시티에서 IONM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18-59세와 60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대상자들을 노인 환자군(elderly group)과 젊은 환자군(younger group)으로 나누어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양 군간 수술 중 신경계감시 방법, 검사 중 변화, 수술 종류 기술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195명이 등록되었고 그 중 노인 환자군은 104명, 젊은 환자군은 91명이 포함되었다. 마취는 전정맥마취(Total intravenous anesthesia)를 시행하였고 IONM은 양측 상, 하지의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 MEP), 체성감각유발전위(somstosensory evoked potential, SSEP)와 근전도(free-runnging and triggered EMG) 검사를 비교하였다. SSEP 파형 변화는 없음, 잠복기 연장(>10% delay from baseline), 진폭 증가(>30% from baseline), 진폭 감소(<50% from baseline)으로 분류하였고 MEP 파형 변화는 소실, 50%이상의 진폭 감소, 30%이상 진폭 증가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임상적 특성, 수술 종류, SSEP와 MEP의 변화는 Table 1과 Table 2에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노인 환자의 IONM에서 검사 중 파형 변화의 비율은 젊은 환자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and 3).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과 음성 예측치는 각각 80%, 99%, 80%였다.
본 연구에서는 D-wave 감시를 시행하지 않았고, 서로 다른 수술 방법과 검사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후향적 연구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노인 환자에서 IONM을 시행할 때 본 연구 결과가 도움을 줄 수 있겠다.